<눈 먼 여자들>

      인터랙티브 무용 공연 <눈 먼 여자들> <눈 먼 여자들>은 끝없는 개발과 성장의 문명이 불러온 기후 위기 속에서 무뎌진 우리의 감각을 다시 깨우고자 시작된 작품이다. 작품은 재난 이후의 세계를 배경으로, 위기 속에서도 생존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개인의 본능만이 아닌 인간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자연의 협력임을 강조한다. 특히, 인터랙티브 관람으로 관객은 공간을 이동하며 재난[…]

정사각형의 이미지입니다. 참여작가 배경욱의 그림 중 일부를 따와 만들었습니다. 그림의 윗부분은 구름이 하나도 없는 하늘, 아랫부분은 초록과 갈색의 풀이 많은 들판입니다. 왼편에는 빨간 지붕의 집이 하나 보입니다. 포스터 중앙에서 약간 오른쪽에는 챙이 넓은 모자를 쓴 사람이 팔을 벌리고 어디론가 가는 회색의 뒷모습이 보입니다. 그 아래로 흰색 사각형이 있고 그 안에 검은 글씨가 있습니다. 열쇠를 주웠다 먼 희망을 얻었다.

밝은방의 그룹전 <열쇠를 주웠다 먼 희망을 얻었다>

밝은방 그룹전 <열쇠를 주웠다 먼 희망을 얻었다> 미술 제도와 무관하게 자신만의 독창적인 작업을 지속해온 9명의 창작자들이 어떻게 자신만의 ’열쇠‘를 발견하여 ’먼 희망‘을 발견하는지, 그리고 그 과정을 어떻게 작품으로 풀어내는지 이번 전시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11월 27일(수)-12월 16일(월) 13시-19시 / 휴관 없음 * 탈영역우정국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20길 42 02.336.8553 * 참여작가: 김동현, 김치형, 김현우, 배경욱,[…]

박금비 개인전 《카더라 kadeora》

박금비 개인전 《카더라 kadeora》 전시 기간: 2024년 10월 3일 (목) ~ 2024년 10월 27일 (일) 전시 장소: 탈영역우정국 2층 (서울 마포구 독막로20길 42) 관람 시간: 10:00-19:00 (휴관일 없음)   《카더라(kadeora)》에서 박금비는 노동 중에 발견한 이미지와 이에 들러붙은 인상에 관하여 이야기합니다. 전시는 상(像)으로서의 이미지와 인상으로서의 이미지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전개됩니다. 박금비는 겹쳐지지 않을 듯한 각 측면에[…]

⟪비표준 불멸 계약⟫ Non-standard Immortality Contract

  ⟪비표준 불멸 계약⟫ Non-standard Immortality Contract 데이터 계약자 김예나 데이터 제공자 홍가영 전시 기간_ 2024.10.3-10.27 관람 시간_1PM-7PM 전시 장소_ 탈영역우정국 1F 협력 탈영역우정국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퍼포먼스 <Monologue² x Monologue² ≠ Dialogue> 2024.10.03. 16:00 ‘표준’의 틀 안으로 포화된 균열의 조각들은 두 인물의 섞이지 않는 독백으로 공명한다. 낭독 속 질문들은 급변하는 기술 시대의 균열을 반영하며,[…]

⟪불가능한 조감도⟫ Displaced Impossibility: A View from Out of Place

⟪불가능한 조감도⟫ Displaced Impossibility: A View from Out of Place 전시 기간 : 9월 20일~9월 29일 오프닝 : 9월 20일 6시 관람 시간 : 14:00-19:00 전시 장소: 탈영역우정국 전층 ⟪불가능한 조감도⟫는 오주영 작가가 기후위기와 기술의 상호작용을 다루며, 기계와 비인간의 행위성에 대한 새로운 사유를 중심으로 한 작품들을 선보인다. 오주영 작가는 다양한 층위의 기술적 역학 체계 속에서[…]

⟪Wave from “____”⟫ 배한별 개인전

⟪Wave from “____”⟫ 배한별 개인전 기간: 2024.9.6 – 2024.9.15 장소: 탈영역우정국 2층 (서울 마포구 독막로20길 42) 관람시간: 오후 1시 – 7시 (휴관일 없음) 변화는 조용히, 그러나 확실하게 찾아온다. 사소한 변화의 연쇄는 우리가 생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며, 예상치 못한 규모로 확장될 수 있다. 그렇다면 이 미세한 변화의 인과관계를 얼마나 명확히 증명할 수 있을까? 우리가 인지 하지[…]

⟪불가능한 스위트 스팟⟫ 유영주

⠀⠀⠀⠀ 불가능한 스위트 스팟 Sweet Spot Inaccessible 유영주 개인전   。기간: 2024.8.17 – 2024.9.1 。장소: 탈영역우정국 (서울 마포구 독막로20길 42) 。관람시간: 오후 1시 – 7시 (휴관일 없음) 。오프닝: 8월 17일 (토) 오후 4시 – 8시 ⟪불가능한 스위트 스팟⟫은 키네틱 사운드 설치물을 통해 입체음향의 새로운 감상 방법을 탐구하는 융복합 프로젝트이다. 난치성 통증증후군을 앓고 있는 작가의 경험에서[…]

《초거대 녹색지대(HYPER GREEN ZONE)》 송승준

《초거대 녹색지대(HYPER GREEN ZONE)》 전시기간: 2024.07.25(목) – 08.11(일), 1PM-7PM 전시장소: 탈영역우정국(서울 마포구 독막로20길 42) 오프닝: 2024.07.27(토), 오후 3시 – 7시 팬데믹 이후 우리는 인류가 조성한 지구 생태계의 균열이 재앙으로 다시 돌아온 상황을 목격하며 인간이 결코 자연과 분리될 수 없는 존재임을 깨닫게 되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인간과 분리된 자연은 오늘날 이상적 자연의 원형으로 환상화되고 있다. 과연 우리는[…]

포킹룸 2024 <하이퍼 슈퍼 엑스라지 … 펑!>

포킹룸 2024 <하이퍼 슈퍼 엑스라지 … 펑!>  Forking Room 2024 거대하다는 말은 모든 것에 적용됩니다. 인공지능 거대 모델뿐 아니라, 데이터셋의 크기, 데이터 증강, 파라미터 값, 서비스 이용자의 증가, 가짜 뉴스, 노동 착취, 신뢰와 윤리 문제 등, 이 플러스 값들은 기존의 우리가 가지고 있는 무언가를 새롭게 채우거나 대체하는 것인지, 그렇다면 그것이 어느 정도(스케일)인지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이중:작동:세계:나무≫Double:Binding:World:Tree

≪이중:작동:세계:나무≫ 일시: 2024년 1월 19일(금)- 2월 18일(일) 13:00-19:00 (설날 휴관일 2월 10, 11일) 참여작가: 수피앙 아델, 정지수, 토어 할라스, 홍민키, 린다 라미냥, 마리아 마이닐드, 무니페리, 루나 스케일스, 맥시밀리언 스메짜, 마크 톨랜더, 염지혜 기획: 소피아 이완누 게딩, 김선형  협력기획: 윤소린 보조: 김한울 주관/주최: 탈영역우정국 후원: 덴마크예술재단, 뉴 칼츠버그 재단, 리니어콜렉티브 디자인: 마카다미아 오 번역 감수: 김정윤[…]

우리가 만나는 이곳 (Here Where We Meet)

  《우리가 만나는 이곳》 Here Where We Meet 일시: 2023.12.15-12.31 13:00-19:00(월요일 휴관) 장소: 탈영역우정국 1층 주최 : 현세진 협력: 탈영역우정국 후원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디자인 : 맹성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때에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처럼 작동하고 있는 말들을 전시장에 꺼내어 본다. 이는 나에게 온 많은 말들 중, 내게 변화를 일으킨 문장들이다. 그 말들은 가까운 사람과의 대화에서[…]

《10987너654나32우리1》 조우희

《10987너654나32우리1》   기간:  2023. 11. 17 (금) – 12. 10 (일) 13:00~19:00 (휴관일 없음) 장소: 탈영역우정국 1F | 마포구 독막로 20길 42  오프닝행사: 11. 17 (금) 17:00~19:00   내가 항상 붙어 사는 이 기계들과, 기술들과, 애플과, 신자유주의 후기 자본주의와 분리된 상태를 상상해 본다(상상해 보려고 시도한다). 이것들이 맞물려 작동하는 거대한 기계가 내게 부여한 사고방식의 외부를 보고[…]

《키신 Kishin: The Generation of Postmemory》 이정

  《키신 Kishin: The Generation of Postmemory》 이정 기간: 2023.11.16 – 2023.12.10, 13:00 – 19:00 장소: 탈영역우정국 2층 포스트메모리 세대의 기록 : 한국전쟁과 민주화운동을 직접 경험하지 못했지만, 사후 기억으로 역사를 기억하는 포스트메모리 세대들에게 한국의 트라우마적인 현대사는 어떠한 이미지로 어떻게 기억되고 있는 것일까? 이번 <키신 Kishin, 2023> 프로젝트는 2021년부터 시작한 <Korean Ghost> 프로젝트에서부터 출발하여 여전히 우리의[…]

《반지-성 Counte-ring Reason》

《반지-성 Counte-ring Reason》 기간: 2023. 11. 02. 목 – 11.12. 일, 13:00 – 19:00 위치: 탈영역우정국 2층 오프닝 행사: 2023. 11. 05 일 14:00 – 15:30   먼저, 반지의 성격(반지-성)에 대해 생각해보자. 아침에 일어나 분주히 나갈 준비를 끝마치고 집을 나서기 직전, 악세사리 함에서 반지를 꺼내 손에 낀다. 손을 옥죄는 반지를 만지작거리며 하루의 작은 사건들을 마주하고,[…]

《미스김라일락》 Miss Kim Lilac 정지수

 미스김라일락 Miss Kim Lilac  전시 기간: 10/06 – 10/29 오픈 시간: 13:00-19:00 (휴관일 없음) 오프닝 행사: 10/06 17:00- 19:00  전시 《미스김라일락》은 한국에서 미국으로 반출되어 미국의 식물학자로부터 이름이 붙여진 꽃나무 미스김라일락에 관한 이야기이다. 이 식물의 이름은 한국과 미국을 이동하며 여러 번 교체되는데, 이 이름의 변천사는 국가 간 정치적 힘의 역학, 자연의 자본화, 그리고 여성 이주민의 정체성을[…]

≪수치심에 의해 인용된 동작들≫ 임가영

≪수치심에 의해 인용된 동작들≫ 임가영 2023.09.08~09.29,13:00-19:00 ≪수치심에 의해 인용된 동작들≫은 임가영의 퍼포먼스 작업을 ‘수치심’이라는 동기로 인해 ‘인용된 동작들’로 제안하기 위해, 물질적 취약성을 드러내는 매체 – 부품용 중고 스마트폰 기기의 스크린에 퍼포먼스의 기록을 ‘인용’하는 방식의 아카이브 전시이다. 사운드 협력_ 한정원 안무 협력_ 윤상은 디자인_ 근면스튜디오 협력_ 탈영역 우정국 후원_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감사한 분들_ 2022 한국전쟁민간인학살지 다크투어 ‘시작하는[…]

<포스트 스크립트>이가영

<Post Script.> 이가영 2023.08.19-09.03, 13:00-19:00 <Post Script.>는 편지의 끝에 덧붙이는 추신 ‘P.S.’와 본편이 끝난 후에 덧붙여지는 후기의 뜻을 모두 지닌다. 본 전시는 코로나 이후에 덧붙여진 추신으로써, 빠르게 과거의 사건이 되어버린 전염병의 시대 동안에 기술, 국경, 개인 간 관계 변화를 작가가 팬데믹 동안 수행한 네 가지 퍼포먼스를 통해 조망한다. 이를 통해 타인과의 연결에 대한 갈망, 천착[…]

<중간언어> Intermediate Language

<중간언어 (Intermediate Language) > 일시 : 2023년 8월 18일부터 9월 3일까지 (휴관일 없음) / 13시 – 19시 장소 : 탈영역우정국 2층 주최주관 : 김은설   소리 들림과 소리 들리지 않음의 세계 사이에 있다. 들림의 세계에서 잘 듣는 것이 아니며, 말도 잘 하는 편이 아니다. 들리지 않는 세계에서 촉각적인 소리와 시각적인 소리가 풍부하다. 이 두 세계[…]

조호영 ⟪입체경⟫

조호영 개인전 ⟪입체경⟫ 2023.7.29.(토) – 8.12.(토) 월-일 13:00 – 19:00 (오픈일 16:00 – 19:00) 탈영역우정국 기획: 신지원 비평: 권태현 그래픽 디자인: 김성구 후원: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협력: 탈영역우정국 눈앞의 ‘현상’은 지각된 것, 즉 의식 속에 들어와 있는 대상을 말한다. 그것은 나와 대면하여 바라보는 대상이 아니라 나에게 지각된 대상, 즉 관념이다. 거기에는 이미 인간이 감각적 본성을 유지하기[…]

서울변방연극제 포스터

2023 서울변방연극제 Seoul Marginal Theatre Festival

2023 서울변방연극제가 7월 7일부터 23일까지 탈영역우정국, 신촌문화발전소, 여행자극장을 포함한 다양한 공간에서 펼쳐집니다. 탈영역우정국에서는 <퇴장하는 등장>과 <어떻게 내가 삐걱거리지 않을 수 있겠어> 두 작품이 막을 올립니다. 2023 서울변방연극제는 “취약-오염-더러움” 이 언어들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상태,만들어지는 세계를 읽어볼 것을 제안합니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관계 아래 놓인 상태이자 생성의 범주를 나타내는 이 언어들이 갖는 힘.그리고 날카로움, 가냘픔과 부서짐, 그 너머의[…]